재가급여 종류, 본인부담금, 복지용구

노인장기요양급여에는 재가급여, 시설급여, 특별현금급여가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재가급여는 수급자가 낯선 시설이 아닌 자신의 집에서 생활하며 돌봄을 받을 수 있는 서비스라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재가급여의 종류, 본인부담금, 월한도액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재가급여

재가급여란?
재가급여란 요양시설에 입소하지 않고 가정에서 돌봄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혼자 일상생활이 어려운 어르신이 가족과 함께 생활하면서 전문적인 돌봄을 받아 존엄한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재가급여 종류

1. 방문요양: 요양보호사가 가정방문, 신체, 가사 지원
2. 방문목욕: 이동식 목욕차량이나 가정 내 목욕 서비스
3. 방문간호: 간호사, 간호조무사가 방문, 건강관리 및 간호 제공
4. 주·야간보호: 낮이나 밤 동안 보호시설에서 돌봄, 여가, 재활 서비스를 제공
5. 단기보호: 일정 기간 시설에서 보호, 가족, 돌봄 공백 시 유용
6. 인지활동형 방문요양: 치매 교육을 이수한 요양보호사가 가정을 방문하여 지원
7. 복지용구: 휠체어, 전동침대 등 일상생활에 필요한 보조 기기 지원


재가급여 종류


 재가급여 월한도액

                                                                                                                            (2025.1.1. 기준)
등급 월한도액 (원)
1등급 2,306,400
2등급 2,083,400
3등급 1,485,700
4등급 1,370,600
5등급 1,177,000
인지지원등급 657,400


 재가급여 본인부담금

(2025.1.1. 기준)
구분 본인부담금 (원)
일반대상자 40% 감경자 60% 감경자 기초생활수급자
1등급 345,960 207,570 138,380 면제
2등급 312,510 187,500 125,000
3등급 222,850 133,710 89,140
4등급 205,590 123,350 82,230
5등급 176,550 105,930 70,620
인지지원등급 98,610 59,160 39,440


1. 방문요양 급여비용(방문당)

가정에서 식사준비, 이동, 병원 동행 등 요양보호사의 돌봄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방문요양 급여비용(방문당)


2. 방문목욕 급여비용(방문당)

가정 내 욕조를 이용하거나 목욕설비를 갖춘 차량을 이용하여 전신목욕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방문목욕 급여비용(방문당)


3. 방문간호 급여비용(방문당)

의사가 발급한 방문간호지시서에 따라 욕창, 당뇨관리 등의 간호, 요양에 관한 상담 등을 가정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방문간호 급여비용(방문당)


4. 주·야간보호 급여비용(1일당)

낮 동안(아침~저녁) 신체, 사회활동, 인지 훈련 등 다양한 프로그램과 식사, 목욕 도움 등 돌봄을 받을 수 있습니다. 
주, 야간보호 급여비용(1일당)


5. 주·야간보호 내 치매전담 급여비용(1일당)

주, 야간보호 내 치매전담 급여비용(1일당)


6. 단기보호 급여비용(1일당)

보호자가 병원에 입원하거나 여행, 출장을 가는 동안, 단기간 시설에 입소하여 돌봄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단기보호 급여비용(1일당)

7. 복지용구

복지용구란?
복지용구는 수급자의 일상생활, 신체활동 지원 및 인지기능의 유지, 향상에 필요한 용구를 말합니다. 장기요양 대상자 중 재가급여 또는 가족요양비 지급대상자로 표시된 경우 구입 또는 대여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복지용구 연간 한도액

복지용구는 1인당 연간 160만 원 한도 내에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복지용구 급여비용(본인부담금+공단부담금)은 구입과 대여를 합산한 금액으로 연 한도액 초과 시 전액 본인이 부담해야 합니다. 


2) 복지용구 본인 부담률

(2025.1.1. 기준)
 본인부담률
 일반대상자 15%
감경
 (보험료 순위 25% 초과 50% 이하)
9%
감경 (보험료 순위 25% 이하) 6%
타법령에 따른 의료급여 수급자 6%
기초생활 의료급여 수급자 면제

3) 복지용구 종류

복지용구(출처: 국민건강보험공단)


▶▶ 복지용구 더 알아보기

복지용구 더 알아보기



☎ 문의
국민건강보험공단 1577-1000

재가급여의 가장 큰 장점은 가족과 함께 익숙한 집에서 생활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또한 어르신의 건강 상태와 필요에 맞춘 맞춤형 돌봄이 가능하기 때문에 많은 가정에서 선택하고 있는 급여입니다. 재가급여의 다양한 서비스를 잘 활용한다면 어르신의 삶의 질을 높이고 가정의 건강과 행복을 지키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